녹색전환연구소 로고
연구 및 자료 - 해외소식
[번역] 격변의 시대에 지역 먹거리 체계가 어떻게 지역 사회를 회복시킬 수 있는가?

웬디 슬러서(Wendy Slusser), 로리 마주르(Laurie Mazur)
번역 : 조안나(녹색전환연구소 편집위원)


※ 이 글은 Solutions(솔루션즈) 사이트에 2015년 7월 게재된 칼럼을 번역했습니다. (본문의 각주는 원문 작성자가 삽입한 것입니다.)

 

접시에 있는 양상추를 잠시 들여다 보세요. 아마 평균적으로 약2,400km를 여행해 이곳에 왔을 것입니다.(1)  사실 여러분의 저녁 메뉴는 여러분보다 세상을 더 많이 보았을 것입니다. 보통의 미국인이 먹는 식사에는 미국 외 최소 5개의 나라에서 온 재료가 포함되어 있습니다.(2)

 

우리의 접시에 음식을 담는 복잡하고 세계화된 시스템은 전문적인 물류 체계로, 전례 없이 낮은 가격으로 대량공급이 가능합니다.(3)(4)

 

하지만 이 시스템은 놀랍게도 허약합니다. 전세계로 뻗어 있는 공급망은 붕괴되기 쉬우며 광범위한 단일재배로 가뭄과 질병에 취약합니다.(5)(6) 또한 오로지 화석연료에 의존하기 때문에 품귀 현상 및 가격 급변이 빈번합니다.(7)

 

2012년 거대 폭풍, 샌디가 강타했을 때 뉴욕 시민들이 먹거리 체계의 취약함을 처음 경험했습니다. 폭풍이 지나고도 며칠간 트럭들이 길가에 묶여 있어 배송이 불가능했습니다. 일부 식료품 가게는 폭풍에 재고가 파괴되었고 일부는 전력이 끊겨 상하기 쉬운 음식들을 버려야 했습니다. 최소한의 재고로 필요할 때에만 제공되는 공급망으로 인해 빠르게 품귀 현상이 시작되었고(8) 그 결과 뉴욕 시민들은 비상 음료와 음식을 공급받기 위해 몇 시간씩 줄을 서야 했습니다.(9)

 

대부분의 뉴욕 시민들은 이러한 품귀 현상을 견뎌 대규모의 위기는 면했지만 샌디는 사람들에게 경고등이 될 것입니다. 기후 변화의 시대에 도시들은 이보다 거대한 폭풍, 홍수, 기상 이변들을 겪고 있습니다.(10)  동시에 전염병부터 테러까지 광범위한 자연 재해와 인재로 우리의 먹거리 체계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11)

 

이러한 격변의 시대에 맞게 먹거리 공급 체계도 더 나은 회복 능력을 갖고 있어야 합니다. 지역에서의 음식 생산과 소비는 우리가 여러 곳으로부터 오는 혼란을 견딜 수 있게 합니다.

 

농산물 직거래, 공동체가 지원하는 농사, 직접 기른 농작물을 사용하는 레스토랑이 확산되면서 최근 몇 년간 전국에 걸쳐 지역 먹거리 체계가 뿌리를 내리고 있습니다. 2014년 미국에는 8,000개 이상의 농산물 직거래 시장이 있으며 이는 2006년보다 180%가 증가한 수치입니다.(12)  지역 마케팅 식품은 2012년 6백만 달러(한화 약 71억 원)까지 팔렸습니다.(13)


사진 : Corey Templeton. 메인 주 포틀랜드에서 매주 수요일과 토요일에 열리는 Deering Oaks 직거래 장터

 

음식 전문 작가이자 운동가인 Michael Pollan은 이러한 소규모 지역 먹거리 체계가 거대하고 세계화된 먹거리 체계보다 충격을 더 잘 견딜 수 있다고 주장하면서(14)  먹거리 체계가 분산되어있기 때문에 지역 먹거리 체계가 테러리스트나 파괴활동자의 표적이 되기 어렵다고 설명했습니다.

 

지역 먹거리 체계는 다른 방법으로도 사람들과 공동체의 회복능력을 지원합니다. 더 짧은 거리의 이동을 거쳐 배송되어 영양을 더 많이 보존할 수 있습니다.(15)  또한 맛이 더 좋아 사람들이 더 먹게 됩니다. 영양이 많다는 것은 재해 상황에서의 회복에 초석이 되는 공공 보건에 더 좋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전세계 시장을 대상으로 키우는 농부는 균일하면서 배에 싣기 좋은 종자를 선택해야 하지만(예, 슈퍼마켓에서 사시사철 볼 수 있는 맛 없는 사각 토마토) 지역 시장에 팔려고 기르는 농부는 영양과 맛을 고려해 종자를 고를 수 있습니다.(16)  지역의 작물 다양성이 높아질수록 소비자의 영양 다양성이 좋아지고 해충과 가뭄에 대한 회복능력이 성장합니다.

 

지역 먹거리 체계는 공동체를 위한 경제적 회복능력을 향상시켜 기존의 농사 방식보다 더 많은 일자리를 만들기도 합니다. 미 농무부는 지역 시장에 공급하지 않는 농장의 경우 백만 달러(한화 약 11억 원) 당 세 개의 정규직만을 만드는 데 비해 지역 시장에 공급하는 농산물 재배자는 백만 달러를 벌면 13 개의 정규직을 만들어 낸다고 밝혔습니다.(17)


사진 : Robin Kirk. 북아일랜드 벨파스트의 St. George 시장. 인기가 많은 주말장에는 지역 생산자들이 생선, 육류, 유제품 및 농산물을 팔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궁극적으로 지역 먹거리 체계는 농장과 소비자의 거리를 줄여 온실가스 배출을 줄입니다. 전세계적으로 먹거리 체계에서 발생되는 온실가스가 19-20%를 차지합니다.(18)  농업의 탄소 발자국을 줄이면 식량 안보의 위협이 되는 기후 변화를 완화시키는 데도 큰 도움이 됩니다.(19)  기후 변화로 올 수 있는 최악의 사태를 방지하는 것은 발생한 후 적응하는 것보다 더 나은 회복 전략입니다.

 

그러므로 지역 먹거리는 여러 방면에서 유익하며 점점 인기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까지 지역 시장을 대상으로 생산되는 식품은 미국 농산물의 1.5%에 불과합니다. 이는 대량 생산으로 이익을 챙기고, 큰 금액의 공공 지원을 받으며 시장을 완전히 지배하고 값 싸게 판매할 수 있는 대규모 농장에 맞서, 지역에 농작물을 판매하는 대부분의 소농들이 고군분투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노력을 통해 이러한 문제를 극복할 수 있습니다. 효과적인 전략 중 하나는 지역 농산물을 수요에 맞게 끌어 모으는 지역 “푸드 허브”를 만드는 것입니다. 이러한 종합적인 기획을 통해 소농들이 직접 연결할 수 없었던 도, 소매 시장 및 대규모 구매가 이루어지는 시장 등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이 전략은 인기를 끌고 있는 중입니다. 미국 내 푸드 허브의 수가 2007년부터 2014년 사이 약 3배가 증가했습니다.

 

지역 공동체는 지역 먹거리 체계 활성화에 이바지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풍부한 농업 유산을 가지고 있으며 빠르게 교외화되고 있는 캘리포니아 주의 플레이서 카운티 주민들은 주변의 농장을 지속하기 위한 조치를 취했습니다.(20)  직거래 시장, 축제, 지역 농산물, 육류 및 와인 품평회를 주관하는 PlacerGROWN이라는 농업 마케팅 단체의 설립이 그것입니다.. PlacerGROWN은 지역 먹거리의 이점에 대해 대중 강좌를 열고 지역 공동체와 농부를 연결합니다. 그 결과 이 지역 최고의 농장들이 개발 논리 속에서도 살아남았으며 2007년에는 농장, 목장 및 포도원이 약 6천만 달러(한화 약 718억 원) 어치의 농업 생산량을 기록했습니다.(21)


사진 : Mike & Molly. 위스콘신주 밀워키의 Kellners 온실

 

농장을 도시로 옮겨오는 곳도 있습니다. 밀워키와 시카고의 Growing Power, Inc.는 도심에서 신선한 음식을 구매하기 어렵거나 비싼 지역에 최신식 온실을 설치해 저소득층 주민들이 영양가 있는 먹거리를 생산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22)  클리블랜드에서는 노동자가 운영하는 Evergreen Cooperatives가 빈곤 지역에 일자리와 신선한 농산물을 제공하는 온실을 관리하고 있습니다.(23)

 

이러한 노력의 결과가 아직까지는 작지만 과거를 돌아보면 필요한 순간에 지역 먹거리 생산이 빠르게 증가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차 대전 중 미국은 “뜰안 야채밭(Victory Gardens)”을 만들어 전쟁을 도왔으며 미국에서 생산되는 채소의 40%를 여기서 생산했습니다.(24)  2008년에는 전세계적으로 소요가 일어나 식료품 가격이 상승하자 많은 카리브 해 연안 국가들이 지역 농업에 투자해 수입 농산물에 대한 의존도를 낮췄습니다. 2009년 자급율이 20%에 불과했던 안티과 바부다는 현재 약 50%까지 생산량을 늘렸습니다.(25)

 

지역 먹거리를 받아 들여야 하는 이유는 많습니다. 더 건강하며 맛있고 지구에 더 좋습니다. 여기 한 가지 이유가 더 있습니다. 좋은 시기에도 위험한 시기에도 지역 먹거리는 우리의 회복능력을 향상시켜 줍니다.  


각주
(1)Harvard T.H. Chan School of Public Health, Center for Health and the Global Environment. Local and urban agriculture [online] (2015) http://www.chgeharvard.org/topic/local-and-urban-agriculture.
(2)Natural Resources Defense Council. Food shopping tips for a cleaner, greener, healthier holiday season [online] (2007) http://www.nrdc.org/media/2007/071121.asp.
(3)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Agriculture 101 [online] (2013) http://www.epa.gov/agriculture/ag101/printeconomics.html.
(4)Thompson, D. Cheap eats: How America spends money on food. The Atlantic [online] (March 8, 2013) http://www.theatlantic.com/business/archive/2013/03/cheap-eats-how-ameri....

(6)Foley, J. Farming changes can limit risks of extreme drought. The New York Times [online] (July 25, 2012) http://www.nytimes.com/roomfordebate/2012/07/25/how-can-we-prevent-anoth....
(7)Klare, M. The oil-food price shock. The Nation [online] (March 28, 2011) http://www.thenation.com/article/159165/oil-food-price-shock#.
(8)Mahanta, S. New York's looming food disaster. CityLab [online] (October 21, 2013) http://www.citylab.com/politics/2013/10/new-yorks-looming-food-disaster/....
(9)Palmer, G. Coney Island post-Hurricane Sandy: Food aid remains the most popular attraction. Huffington Post [online] (November 21, 2012) http://www.huffingtonpost.com/2012/11/21/coney-island-post-hurricane-san....
(10)U.S. Global Change Research Program. 2014 National Climate Assessment (full report). [online] (May 20, 2014) http://nca2014.globalchange.gov/report.
(11)Runyon, L. Could our food supply be a target for terrorists? Harvest Public Media [online] (March 6, 2014) http://harvestpublicmedia.org/article/could-our-food-supply-be-target-te....
(12)Runyon, L. Are farmers market sales peaking? That might be good for farmers. National Public Radio [online] (February 5, 2015) http://www.npr.org/blogs/thesalt/2015/02/05/384058943/are-farmer-market-....
(13)U.S. Department of Agriculture. Local food systems: What do we know about national trends? [online] (February 3, 2015) http://blogs.usda.gov/2015/02/03/local-food-systems-what-do-we-know-abou....
(14)Pollan, M. Farmer in chief. The New York Times [online] (October 9, 2008) http://www.nytimes.com/2008/10/12/magazine/12policy-t.html?pagewanted=al....
(15)Harvard T.H. Chan School of Public Health, Center for Health and the Global Environment [online] (2015) http://www.chgeharvard.org/.
(16)Sommer, L. Building a better, tastier tomato [online] (August 17, 2012) http://science.kqed.org/quest/audio/building-a-better-tastier-tomato/.
(17)U.S. Department of Agriculture. New report: Local foods are working for the nation [online] (November 8, 2011) http://blogs.usda.gov/2011/11/08/new-report-local-foods-are-working-for-....
(18)CGIAR Research Program on Climate Change, Agriculture and Food Security. Food emissions [online] (2015) http://ccafs.cgiar.org/bigfacts/#theme=food-emissions.
(19)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limate change 2014: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summary for policymakers) [online] (2014) https://ipcc-wg2.gov/AR5/images/uploads/WG2AR5_SPM_FINAL.pdf.

(21)Placer County Farm Bureau. Our History [online] (2015) http://www.placercfb.com/our_history.php.
(22)Growing Power [online] (2015) http://www.growingpower.org/.
(23)Green City Growers Cooperative [online] (online) http://evergreencooperatives.com/business/green-city-growers/.
(24)National World War II Museum. Fun facts about victory gardens [online] (2015) http://www.nationalww2museum.org/learn/education/for-students/ww2-histor....
(25)Cave, D. As cost of importing food soars, Jamaica turns to the earth. The New York Times [online] (August 3, 2013) http://www.nytimes.com/2013/08/04/world/americas/as-cost-of-importing-fo...

 


원본 URL: http://www.thesolutionsjournal.com/node/237350

※ Solutions(솔루션즈) : 전세계의 생태학, 사회학, 경제학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담하고도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제시하고자 하는 온라인 비영리 출판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