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월 9일 독일 연방 하원의 교통위원회는 독일연방교통부에서 제출한 ‘고속 충전소 1,000개 자금지원 개요(Ausschreibungskonzept für 1,000 neue Schnelladenhubs)’를 승인했다. 이로써 2021년 여름부터 고속 충전소 설치를 위한 입찰이 시작된다. 이는 크게 보면 2019년 11월 19일 발표한 ‘독일의 미래 자동차 충전소 인프라 마스터플랜(Masterplan Ladeninfrastruktur der Bundesregierung)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것이다.
<출처: BMVI>
독일 연방정부는 ‘기후보호 플랜 2050(Klimaschutzplan 2050)’을 수립하고 2030년까지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을 55~56%까지 줄이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를 위해 운송부문 에서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40~42%까지 감축할 계획이며, 이의 이행방안이 담긴 ‘기후보호 프로그램 2030 (Klimaschutzprogramm 2030)’ 을 바탕으로 E-mobility의 지속성장에 필수적인 전기자동차 충전소 인프라를 구축해 나가고 있다.
현재 독일 모빌리티의 93%가 석유와 가스 등의 화석 연료를 사용하고 있다. 운송 부문에서의 기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2030년까지 독일에 최소 1,500만 대의 전기 자동차가 필요하다. 그리고 그에 따른 충전소 인프라도 구축 되어야 한다.
독일의 미래 자동차 충전소 인프라 마스터플랜 에 담긴 목표를 살펴보면, 연방정부는 2030년까지 ▲전기차 충전소를 23,800개(`19.12월)에서 1백만 개까지 증설, ▲전기차 충전소 증설을 위한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25년까지 지원, ▲충전인프라 확장은 상업용 충전소 뿐 아니라 개인용 충전소까지 포함, ▲배전망 공급자가 스마트 네트워크 구축 등에 투자하고 네트워크를 확장할 수 있는 법적 토대 구축, ▲충전 인프라 확대 과정에서 필요한 의견조율을 담당할 ‘충전 인프라 국가관제센터(Nationalen Leitstelle Ladeinfrastruktur)’설립, ▲22만대 수준(’19.11월)의 전기자동차 보급대수를 1천만대 수준으로 확대하여, 전기자동차 수 대비 충전소 수의 비중을 10% 수준으로 올리는 것을 주요 골자로 하고 있다. 독일 정부는 이 계획의 실현기관인 국가 충전 인프라 제어 센터를 Now GmbH로 지정한 이후 이 마스터플랜을 차근차근 현실화 시키고 있다. 안드레아스 쇼이어 교통부 장관은 “이를 통해 독일 어디서나 쉽고, 빠르고, 편리하고, 기후 중립적으로 전기차를 충전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것” 이라고 선언하였다.
<독일 정부의 고속 충전소 확충 계획, BMVI>
◼ 고속 충전소 1,000개 자금지원 개요 주요 내용
-중장거리 이동 시 고속 충전소 인프라를 제공하기 위해, 연방 교통부에서 독일 내의 중요한 지점에 약 1,000개의 고속 충전소를 건설을 위한 공고를 낼 예정
-각 충전소는 최소 150kW의 전력을 제공하고, 지역적 균형 및 비용, 컨셉, 접근성 등을 고려하여 선정될 것임
-입찰은 두 영역으로 구분하여 1) 고속도로 약 150~200개의 충전소 설치, 2) 지방 및 시내 도로에 약 900여 개의 충전소 설치를 목표로 함.
-기업 참여의 균형을 이루기 위해 입찰도 중소기업용 트랙과 지역 사업자용 트랙, 대기업 및 글로벌 기업용 트랙을 별도로 운영.
현재 독일에는 150kW 이상의 전력을 제공하는 충전소가 800개에 불과하며, 이는 독일의 모든 공공 전기차 충전소의 약 2.4 %에 해당한다. 150kW의 전력은 최대 100km를 주행할 수 있는 전기를 충전하는데 3~5분 안의 시간이 걸리는 ‘고전력 충전’ 방식이다. 이번 지원을 통해 2023년에는 독일 전역에서 어디에서든 고속 충전소가 10분 이내의 거리에서 접근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이에 대해 독일 녹색당은 “이 입찰 과정은 너무 늦게 시작되었기 때문에 예정된 기간인 2023년까지 목표를 달성하지 못할 것” 이라며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으며 “150kW의 출력은 너무 낮아 몇 년 안에 골동품이 될 것"이라며 본 사업의 진행 방향에 대해 비판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독일 베르기쉬 글라드바흐(Bergisch Gladbach)의 자동차 관리 센터(CAM, Center of Automotive Management)에 따르면, 지난 2020년에 19만 4천 대의 전기 자동차가 새로 등록되면서, 전년도 대비 2배 이상 증가한 수치를 보였다. 그러나 Shell의 자회사인 New Motion이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충전에 대한 불편함이 실제 전기차를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가장 시급한 문제였다.
질문: 현재 공공 충전소에 얼마나 많이 만족하는지?
결과: 매우 불만족 (6%), 불만족(20%), 부분적으로만(42%), 만족(28%), 매우 불만족(3%)
질문: 얼마나 자주 전기차를 충전하십니까
결과: 기회가 될 때마다 (19%), 매일 1번씩(20%), 이틀에 한 번씩(16%), 일주일에 2~3회(27%). 일주일에 2회 이하 (18%) (출처: Uscale)
그러나 고속 충전은 크게 두 가지 문제를 안고 있다. 먼저 배터리 수명이 단축된다는 것, 그리고 화재의 위험이 증가한다는 것이다. 독일 헬름 홀츠 연구소의 배터리 전기 화학 연구 그룹장인 슈테파노 파세리니는 “충전 속도가 빠를수록 배터리의 수명은 줄어든다. 그리고 화재 위험 등에 대비해 안전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개발할수록 배터리의 성능과 효율성은 손실되기 마련이다. 이 부분이 현재 배터리 연구자들의 딜레마”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현재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리튬-이온 배터리를 고체 방식으로 개발 중이다. 이는 지금까지 액체로 이동하는 방식에서 고체 물질 간의 이동 방식으로 개선하여, 빠르게 충전된다는 장점과 전해질이 가연성이 아니라 화재 위험이 덜하다는 장점이 있다. 지난 5월 중순에 폭스바겐과 미국의 퀀텀스케이프(Quantumscpe)는 고체 배터리 개발을 위한 파일럿 플랜트 건설 착수를 발표했다.
독일의 고속 충전소 증설이 박차를 가하고, 전기차에 대한 접근성이 쉬워지면서 이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므로 ‘배터리 폐기물로 인해 전기차가 과연 진정 친환경적인가’라는 의문도 동시에 제기되면서 ‘진정한 기후목표에 도달할 수 있는’ 연구개발과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고속충전소 증설 발표로 앞으로 얼마나 ‘빠른 시일 내에’ 독일이 기후 목표를 달성해 낼 수 있을지 그 귀추가 주목된다.